반응형

엄마를 떠올리게 하는 영화 82년생 김지영

영화 82년생 김지영

 

감독 : 김도영

주연 : 정유미, 공유

장르 : 드라마(러닝타임 118분)

개봉일 : 2019년 10월 23일

 

 

원작 82년생 김지영

2016년 저자 조남주에게 출판된 책 '82년생 김지영'은 주인공 김지영이 어릴 적부터 당한 여성 차별, 불이익 등을 그녀의 삶을 통하여 들려주는 내용의 책이다.

 

열린 결말로 페미니즘이라는 대한민국의 젠더 분쟁에 대해 생각하게 되는 경우가 다반 수로 일어나며, 영성에 대한 차별과, 소외, 사회적인 억압 등의 문 데를 일반화한 내용이기 때문에 보다 불편한 시선으로 바라보기도 한다.

 

'남성을 나쁜 사람으로 묘사하기에 급급하다', '자주 생겨나지 않는 일들을 보편적인 일로 만들어낸다' 이러한 대중들의 비판들이 몇몇 있지만 반대로 '내용은 내용일 뿐이다' 라며 작품 자체를 옹호해주는 대중들 또한 발견할 수 있다.

 

 

줄거리

이 영화에서 나오는 유일한 주인공 김지영(정유미)은 한 대학의 국문학과에 다니다 졸업을 하고 한 회사에 취업해서 본인의 일을 사랑하고, 열정이 가득한 평범한 회사원이었다. 그러던 중 여느 여자들과 같이 정대현(공유)이라는 한 남자를 만나 함께 결혼한 후, 딸아이를 임신하며 평범한 가정을 꾸리며 살아갔다.

 

이렇게 김지영(정유미)에게는 남편과, 사랑스러운 딸, 그리고 매일같이 만나지는 못하지만 든든한 가족들이 있기에 그 모든 존재가 큰 힘이 된다. 하지만 언젠가부터 김지영의 행동이 조금씩 이상해지기 시작한다.

 

주변 사람들과, 가족들에게 알아듣지못하는 엉뚱한 말을 하는 반면 마치 다른 사람이 된 것처럼 말하는 지영. 그런 지영을 보는 남편 대현은 걱정스러운 마음이 앞서지만 섣불리 행동하다가는 오히려 상처 받을 아내 걱정에 애써 웃으며 괜찮냐는 말만 연거푸 반복한다.

 

그렇게 하루하루 흘러 더 심각해진 지영을 위해 결국 남편 대현은 마음을 다잡고 아내 지영과 대화하기 시작한다.  결국 지영은 정신과 치료를 받기로 하면서 이 영화의 막은 내린다. 대현은 적극적으로 아내 지영을 돕기 위해 직접 육아휴직을 내면서까지 정성을 보였고 이에 지영은 심각성을 느끼고 치료를 받기로 하게 된 것이다.

 

 

명대사

"진작에 말하지 그랬어, 부모님 생신 때마다 내려가고, 명절마다 가는거 힘들댔잖아"

 

"사부인, 쉬게 해주시고 싶으면 집에좀 보내주세요 "

 

 

갈리는 대중들의 소리

솔직히 나는 이 영화를 보기 전 부터 개인적으로 책으로도 너무 읽고 싶었던 작품이었다. 영화를 관람하고 나서 어찌 보면 남녀를 너무 극대화, 주관적인 보편화를 시킨 내용이라 생각 들 수야 있겠지만 나는 그런 복잡한 생각보다 나를 힘들게 키운 우리 엄마 생각에 눈물이 나기 바빴다.

 

여자라는 이유로, 아이를 낳고 키우며 포기해야하는 여러 가지 많은 것들, 물론 남자들도 아빠라는 이유로 포기해야 할 일들이 많지만 나도 같은 여자로서 우리 엄마가 나를 위해 여자로서의 삶을 포기하고 있진 않을까 내가 더 잘해야겠다 라는 생각이 들기에 앞섰던 것 같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너무 속상하다. 그냥 영화는 영화로 봐주면 안되는 걸까? 영화에서 주는 메시지는 '여자는 무조건 피해자다' 이것보다는 '엄마로서 삶에서 가끔 애환이 생길 때가 있는데 당연하게 생각하지 말고 엄마한테 더 잘하자' 그 이상 그 이하로 생각하지 않아도 될 것 같은데 말이다.

 

 

 

나와 내 사람들의 이야기

조금만 마음을 열어서 생각해보면 내 이야기가 될수도 있는, 또한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될 수 있는 내용이다. 가깝게로는 나의 엄마, 나의 아빠, 또한 미래의 내 모습, 우리 언니의 모습이지 않을까 싶다.

 

오로지 여자라는 하나의 성을 가진 사람만을 위한 내용이 아닌 남자로서 대입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하며,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애환의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를 무조건 이분법적으로 생각해 페미니즘만을 떠올리기엔 아깝다고 표현하고 싶다.

 

 

 

결론

여러가지 이슈들에 말이 많았던 영화 '82년생 김지영'은 대중들의 비판적인 시선을 신경 쓴 듯처럼 보다 노골적으로 여성의 삶을 표현하지 못한 것에 조금 아쉬움이 남아있지만 그럼에도 빗어진 메시지에 많은 교훈과, 깨달음을 얻기에 충분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