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코올중독 원인, 알코올중독 치료 방법과 예방법까지
삶과 건강을 파괴시키는
알코올 중독
알코올 중독은
과도한 음주로 인해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기능에
장애가 생기는 질환을 말합니다.
알코올 남용과 알코올 의존이
흔하게 알코올 중독으로 불리지만
이는 정확한 정의가 결어 되어 있는 것입니다.
<알코올 남용>
과도한 음주로 인한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기능에 장애가 오는 것을 일컫는 말
알코올 중독 증상
알코올 금단
과음을 지속하다가 음주를 중단하거나 음주량을 줄인 경우
불안, 초조, 과민성, 각성, 놀람 반응, 수면장애, 오심, 구토, 이상 피부 감각, 빈맥, 발한, 안면홍조, 혈압상승 등의 증상이 발생됩니다.
내성
물질에 대하여 신체가 적응한 결과로 술에 취하기 위한 알코올 용량이 반복된 음주를 통하여 늘어나는 경우
혹은 같은 용량의 술을 마셔도 이제는 취하지 않는 경우 등
집착
술을 계속 마시기 위해 중요한 사회적 및 직업적인 기능이 줄어듦
취미 생활 포기, 술을 구하는 데 많은 시간 할애, 술을 마시기 위해 자신이 해야 할 일을 뒤로 미루고 책임을 다하지 않는 상태
섬망
음주량을 줄이거나 중단 후 일주일 내에 발생
빈맥, 발한, 발열, 불안, 불면, 고혈압 등의 자율신경계 항진 증상과 환시, 환촉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금단 선망은 사망률이 높은 의학적 응급상태를 말합니다.
->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률이 20%이며 흔히 폐렴, 신장 질환, 간부전, 심부전 등의 병발 질환에 의해 사망합니다.
알코올 중독 원인
<유전적인 원인>
쌍둥이를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
- 부모가 알코올 중독자인 경우, 건강한 집안에 입양되어 가더라도 알코올 중독에 걸릴 가능성이 높다.
- 일란성 쌍둥이 중 한 명이 알코올 중독에 걸렸다면 다른 형제도 알코올 중독이 될 확률이 이란성쌍둥이 형제애 비해 훨씬 높다.
<생물학적 원인>
사람이 살아가는 데 있어 필요한 동기를 조절하는 보상회로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쾌락과 같은 기분을 느끼게 하여, 향후에도 반복적으로 그 행동을 하도록 유도
보상회로와 함께 쾌락추구를 조절하는 전두엽
-> 비정상적인 쾌락 유발, 지속적으로 마시고 싶도록 갈망 유발, 그만 마시려는 조절력을 상실
<심리적인 원인>
알코올 중독자들은 일반인에 비해 우울증이나, 열등감, 불안증상, 과민한 경향 등을 보임
<사회문화적 요인>
술을 마심으로써 불안, 스트레스, 긴장 등을 해소한 경험
-> 유사한 갈등이 있을 때 술을 쉽게 찾게 되며, 이러한 선택이 알코올 중독으로 이어짐
알코올 중독 치료
<중재> 직면을 통해 회피하려는 마음을 해결하고 치료하지 않을 시 발생되는 부정적인 결과에 대해 인지하게 하는 과정
<해독> 우선 신체 검진을 포함한 내과적 상태 파악, 내과적 질환이 없고 동반한 다른 약물 중독이 없는 경우라면 심각한 금단 증상은 없다.
해독 중에는 휴시고가 적절한 음식 및 비타민 섭취가 함께 필요
<재활> 금주에 대한 동기를 증가시키고 금주를 유지, 알코올이 없는 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고 재발을 방지하는 목적
알코올 중독! 그것이 알고 싶다!
1. 술 마신 후 찜질방이나 사우나에서 땀을 빼는 것이 좋다?! X
과음 후 찜질방이나 사우나에서 땀을 많이 빼는 것은 금물! 알코올은 수분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갑작스럽게 뜨거운 찜질방이나 사우나에서 땀을 빼게 되면 수분 손실이 지나치게 많아져서 위험도 증가
-> 따뜻한 정도의 물에 샤워를 하고 체내에 수분을 충분히 공급해 주는 것이 숙취 해소에 도움
2. 일단 토하면 술이 깬다? X
구토를 하는 와중에 위산이 역류하면 식도에 염증을 유발, 파열될 가능성 높음
3. 술을 자주 많이 마시는 사람이 알코올 중독자이다? X
음주에 대한 강박적인 집착, 사회적인 문제의 유발과 내성 및 금단 증상이 기준
술을 적게 마신다 해도 동반된 문제가 있다면 알코올 중독으로 진단
'일상다반사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경섬유종 원인, 신경섬유종 증상 살펴보기 (0) | 2023.06.06 |
---|---|
천식 원인, 천식 증상, 천식 치료법 살펴보기 (2) | 2023.06.05 |
알츠하이머병 원인과 증상, 알츠하이머 예방법 살펴보기 (0) | 2023.06.03 |
사시 원인, 사시 증상 살펴보기 (0) | 2023.06.02 |
뇌출혈에 대해서, 반신마비에서 사망까지 이르는 무서운 질병 (0) | 2023.06.01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