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이 에게 발생하는 몽유병, 야경증 발생이유와 특징 살펴보기

아이에게 발생하는 몽유병과 야경증

 

우리 아이가 자다가
이상행동을 보여요.


몽유병, 야경증 발생이유와
특징 살펴보기

 

 

 

안녕하세요 몀마입니다. 

오늘 여러분들과 함께 살펴볼

건강정보의 주제는 바로

 

'아이 몽유병, 야경증

발생이유와 특징 살펴보기'입니다.

 

잘 자던 아이가 갑자기

이상행동을 보인적이 있으시나요?

한 밤중 곤히 자던 아이가

갑자기 벌떡 일어나서 돌아다닌 적은요?!

 

우리와 같은 성인에게만 있을 줄만 알았던

몽유명과 야경증과  같은 증상들이

우리아이들에게 나타난다면

그 특징과 발생이유를 잘 살펴보고

제대로 대처해야겠죠

 

대표젹인 수면 중 이상행동인 몽유병과 야경증

성장기 아이들에게 많이 발생하는데요

안전사고 위험이 있기 때문에

많은 관심을 가지며 살펴보아야 합니다.

 

 

 

몽유병(수면보행증)

수면보행증(몽유병)은 비렘 수면 각성장애 중 하나로
수면 중에 보행을 비롯하여 복잡한 신체활동을 하며,
때대로 알아들을 수 없거나 의미없는 말을 하기도 합니다.
대개 눈을 뜨고 있고 시선이 고정되어있습니다.


야경증

야경증은 비렘 수면 각성장애 중 하나로,
비렘수면기 중 수면 초반 1/3 앞쪽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며
주로 소아에서 갑자기 잠에서 깨어 비명을 지르며
공황상태를 보이는 질환입니다.

 

 


몽유병

몽유병

* 자다 깨서 돌아다니는 몽유병

 

대부분 몽유병은 아이가 6~7세 때부터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하며

특특히  깊은 수면에 빠지는 취침 2~3시간

이후에 발생되기 시작합니다.

 

몽유병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심한 스트레스, 불편한 잠자리,

가족력입니다.

 

 

우리 아이에게 몽유병과 같은

증상이 보인다면 이렇게 해보세요!

 

-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미리 

위험한 물건을 멀리 치운다.

 

- 증상이 사라질 때까지 바닥에서 잔다.

 

- 집 밖으로 나갈 수도 있기에

현관문을 꼭 잠근다.

 

- 안아주거나 달래서 다시 재운다.

 

 


야경증

 

야경증

*자다가 갑자기 울부짖는 야경증

 

전체중 1~6%에 해당되는 어린이가

경험하는 야경증은 특히나

4세 이상 남자 아이에게 많이 관찰됩니다.

 

깊은 수면에 빠지는 취침 2~3시간 

이후에 발생되며 아침에 일어나면

전혀 기억하지 못하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야경증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불안, 심한 스트레스, 수면부족,

육체적 피곤함, 고열 입니다.

 

우리 아이에게 야경증과 같은

증상이 보인다면 이렇게 해보세요!

 

- 차분히 진정시킨 후 다시 재운다.

 

- 아이가 일정한 시간대에 야경증을 자주 보이면,

증상이 나타나기 2~30분 전에 잠깐

깨웠다가 다시 재운다.

 

- 활동량이 많은 날은 충분히 재운다.

 

 


 

아이의 수면 중 이상행동은 여러가지가 함께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다행히 뇌 신경 발달이 진행하는 미숙한 상태에서

생기는 일시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청소년기 이후 대부분 사라진다고 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