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배에서 덩어리가 만져져요. 복부종괴 원인과 증상 살펴보기

 

 

 

 

 

 

 

배에서 덩어리가 만져지는
복부종괴의 

원인과 증상
살펴보기

 

 

 

복부종괴는

배에서 덩어리가 만져지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배에는 심장, 폐, 위,

소장, 대장, 간, 담낭, 비장,

췌장 등 다양한 주요 장기들이

위치하고 있는데

 

이런 기관에 질환이 있을 경우

복부종괴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장기의 종류만큼

복부종괴의 원인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므로

 

덩어리가 만져지는 경우

즉시 내원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복부 종괴의 원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왼쪽 갈비뼈 부근에

덩어리가 만져져요

* 위암, 비장 종대

 

 

왼쪽 갈비뼈 부근은

식도와 이어지는 위장의

위쪽 입구입니다.

 

 

 

 

 

 

만약 이 부분에 딱딱한 덩어리가

만져진다면

위암을 의심할 수 있으며

이 부분에 부드럽고 긴 장기가

만져진다면 비장 종대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비장은 정상 상태에서는

만져지지 않지만

만성간염, 간경변과 같은 간 질환이 있는 경우

피가 고이면서 부풀어 오를 수 있습니다.

 

비장종대의 주요 증상으로는

황달, 소화불량, 식욕부진,

현기증 등이 있으며

백혈병과 같은 혈액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비장종대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료과 추천

-> 내과(소화기내과)

 

 

 


 

 

 

 

 

오른쪽 갈비뼈 아래 부근에

덩어리가 만져져요

* 지방간, 간염, 간암

담낭염, 담낭암

 

 

 

오른쪽 갈비뼈 아래 부근에

위치한 장기는 간과 담낭입니다.

 

지방간이나 간염이 심해져

간 조직이 딱딱하게 변하는 것을

간경변증이라고 하는데

 

바이러스, 음주, 비만,

약물 등에 의해 만성 염증이 

반복되면서 진행됩니다.

 

한편 담낭의 경우에는

평소에는 만져지지 않지만

만성 담낭염 환자에게는

탁구공 만한 크기의 종괴가

만져질 수 있습니다.

 

간병변증과 담낭염은

각각 간암과 담낭암으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병원에 내원하여

정확하게 질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진료과 추천

-> 내과(소화기내과)

 

 

 


아랫배에서 덩어리가 만져져요

* 변비, 자궁근종

 

 

배에서 딱딱한 덩어리가

움직이듯 만져지는 경우

장을 따라 움직이는 대변일 수 있고,

여성일 경우 자궁에 생기는 양성종양인

자궁근종일 수 있습니다.

 

 

자궁근종은 35세 이상 여성 중

약 20%가 가지고 있을 정도로

흔한 증상이며

대부분 증상이 없이 때문에

덩어리가 만져질 경우라면

이미 거대근종으로 진행된 경우로 볼 수 있습니다.

 

월경 과다와 같은 월경 이상,

골반통이나 압박감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특정 증상에 의해서보다는

정기적인 산부인과 검진 및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진료과 추천

-> 내과(소화기내과),

가정의학과, 산부인과

 

 

 


 

어린아이의 배에서

덩어리가 만져져요

* 탈장, 장중첩증, 윌름 종양,

신경모세포종 등 소아암

 

 

탈장이란

복부의 내장이 원래의 위치에서 벗어나

빠져나와 있는 것을 말합니다.

 

장 중첩증

장이 겹쳐지면서

안쪽으로 말려들어가는 것을 말합니다.

 

어린아이의 경우 성인에 비해 복벽이

약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한 탈장과

장 중첩증이 발생할 위험이 높습니다.

 

해당 질환이 발생하면

심한 복통과 함께 구토,

딸기잼과 같은 혈성 점액성 대변을

보는 증상이 동반됩니다.

 

하지만 어린아이는

자신의 통증을 정확하게

표현하기 어려워하므로

가급적 빠르게 내원시켜

검사를 통해 정확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드물지만 소아암으로 인한

복부의 덩어리일 수 있으므로

통증을 호소하지 않더라도

지나치지 말아야 합니다.

 

 

 

진료과 추천

-> 내과(소화기내과),

소아청소년과, 외과, 응급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