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설사와 연관된 질환 살펴보기, 설사의 위험한 신호

 

 

묽은 변이 나오는
설사의 원인과 증상
살펴보기

 

 

설사는 비정상적으로

묽은 변이 배출되는 증상으로

 

하루에 대변을 보는 횟수가 3회 이상이고,

묽은 변이 하루 200g 이상

배출되는 경우 설사로 정의합니다.

 

설사를 유발하는 원인으로는

세균이나 박테리아에 의한 급성 염증이나

 

염증성 장 질환 같은

만성 염증에 의해서도 발생하며,

또한 항암 치료나 방사선 치료 후

유당 불내증과 같은 식사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설사의 원인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요?!

 

 

 


 

엊그제부터 배가 아프고 설사를 했어요

* 세균, 바이러스에 의한 위장관 감염,

식중독

 

 

 

설사는 우리 몸에 들어온 세균, 독소를

배출하기 위한 방어 작용 중 하나입니다.

 

익히지 않은 음식 섭취,

청결하지 못한 환경에서의 식사 후

갑작스럽게 설사 증상이 있다면

감염병으로 인한 설사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설사를 유발하는 세균과 바이러스의

종류를 살펴보면

 

쉬겔라, 살모넬라, 콜레라, 대장균,

캠필로박터, 아데노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등을 들 수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설사 증상이 있을 시

금식을 통해 장을 쉬게 하고,

탈수가 되지 않도록 물이나

이온음료를 조금씩 섭취하는 것이 좋으며

 

심한 구토를 동반한 설사를 할 경우

수액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진료과 추천

-> 내과(소화기내과), 가정의학과,

소아청소년과

 

 


 

 

특별한 이유가 없는데도

설사를 반복해요

 

* 기능성 설사

(과민성 대장 증후군)

 

 

 

배가 자주 아프고, 지속 기간이

30일을 초과하는 만성 설사를 겪고 있다면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발생원인으로는 주로

정신적 스트레스, 위장관 감염,

음주나 자극적인 음식을 먹는 식습관을

들 수 있습니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세계적 유병률은 9.5%~25%로

보고되고 있는데 특히 우리나라는

소화기 증상으로 방문하는

환자의 28.7%가 과민성 대장 증후군일

정도로 흔한 질환입니다.

 

과민성 장 증후군은

심각한 질환은 아니지만

개인의 능력이나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어

삶의 질을 저하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과 함께

적절한 약물 치료와 함께

생활 습관을 교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진료과 추천

-> 내과(소화기내과), 가정의학과,

소아청소년과

 

 

 


 

혈액, 점액성 설사가

몇 달씩이나 계속돼요

* 염증성 장 질환(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은

장에 만성적인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두 질환은 증상이 비슷하지만

궤양성 대장염의 경우

발생 부위가 대장에만 국한되며

출혈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특징이 있으며,

크론병은 소화기관 어느 부위에도

발생할 수 있으며

복토오가 체중 감소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흡연이 질병의 발생과 재발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들 질환으로 인해 반복적인

설사가 이어지면 환자의 30~50% 정도에서

치핵, 치루 등의 항문 질환으로 이어지며

 

대장암의 발생 확률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조심해야 합니다.

 

 

 

 

진료과 추천

-> 내과(소화기내과)

 

 

 


 

색깔이 옅거나, 기름지고 물에 둥둥 뜨는

지방성 설사가 계속돼요

* 소장, 췌장 질환에 의한 설사

 

 

 

설사라고 하면 대장의 이상으로만

생각하기 쉽지만 소장이나 췌장의 

질환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소장의 만성 소화 장애증,

편모충증, 만성 췌장염 등이

있을 때에는 체중감소와 함께

색깔이 옅고 화장실 물로 내려보내기

힘들 만큼 양이 많은 기름진 지방변 형태의

설사를 하게 됩니다.

 

 

 

 

진료과 추천

-> 내과(소화기내과)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