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이 안 느껴져요, 코로나 후유증 미각장애
맛이 느껴지지 않는
미각장애
원인과 증상
사람은 혀를 비롯해
구강 내 넓게 퍼져 있는
미뢰라는 감각 세포를 통해
맛을 느낍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구별할 수 있는 맛은
단맛, 짠맛, 신맛, 쓴맛,
감칠맛, 느끼한 맛 이렇게
여섯 가지이며
매운맛과 떫은맛은
미각이 아닌 통각으로 분류됩니다.
미각에 장애가 생길 경우
식사량의 감소로 충분한
영양 섭취가 제한되거나,
특정음식, 성분에 대한 과도한 섭취로
당뇨병, 고혈압 등의 질환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올바른 원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입안이 건조하고 텁텁하며
맛이 잘 안 느껴져요
* 구강건조증
구강건조증이 있으면
입안이 건조하고, 텁텁한 느낌이 들며
심한 경우 혀가 갈라져
맛을 느끼거나, 음식을 먹기
힘들어지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우리의 입안에서
하루에 분비되는 침의 양은
얼마나 될까요?!
분비된 침은 대부분 다시 삼켜지기 때문에
우리가 잘 의식하지 못하지만,
건강한 성인을 기준으로
하루 침 분비량은 약 1.5리터나
된다고 합니다.
이렇게 분비된 침은 우리의 입 안에서
음식물의 맛을 느끼게 하고,
소화, 살균, 치아의 보전, 산도 조절 등
구강 내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침 분비가 감소하는 구강건조증이 생기면
이러한 침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므로
맛이 잘 느껴지지 않고,
음식을 씹고 삼키는데 어려움이 생기며
구강 위생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구강건조증은 단순히 침 분비가
잘 되지 않는 기능적 문제 외에도
쇼그렌증후군 같은 병의 증상,
항암제나 항생제 등의 약물 부작용,
침샘 부위의 수술 등의 이유로 발생합니다.
진료과 추천
-> 이비인후과, 치과, 내과, 가정의학과
혀가 붓고, 혓바닥이 희고
노랗게 변했어요
음식맛이 잘 느껴지지도 않아요
* 설태, 설염
설태는 음식찌꺼기, 구강 점막의
죽은 세포, 세균 등이
혓바닥에 하얗게 끼는 증상을 말합니다.
대부분의 입냄새가 설태로 인해 발생하며
양치질을 할 때 칫솔로 혓바닥을
잘 닦아내면 정상적인 분홍색을
되찾을 수 있습니다.
설염은 혀에 생긴 염증을 말하는데
혀가 붓고 하얀 막이 생기며,
오돌토돌한 혀의 표면이 매끈해지며
색이 희거나 노랗게 변하게 됩니다.
설태처럼 혀에 다른 이물질이 과도하게 끼는 경우나
설염처럼 혀에 염증이 생겨
혀의 미각 세포 기능이 둔화되는 경우
맛을 잘 느끼지 못하게 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원인 증상이 해결되고 나면
미각 기능은 다시 정상적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진료과 추천
-> 이비인후과, 치과, 내과, 가정의학과
감기, 비염, 축농증을 앓고 있는데
맛이 잘 느껴지지 않아요
* 감기, 비염, 축농증
감기, 비염, 축농증 등
호흡기 질환 때문에
후각이 일시적으로 저하되어 있는 경우
미각까지 둔하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콧물, 코막힘 때문에
냄새 입자가 후각 신경 세포까지
도달하지 못하면 냄새를 맡지 못하게 되는데
우리가 느끼는 음식의 맛은
후각과 미각 등의
감각이 종합적으로 작용하여
느끼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일부 후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예를 들면 양파와 사과를 미각 만으로는
잘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 외에도 코로나 19 바이러스 등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에 의해
후각, 미각을 담당하는
신경이 손상된 경우에도
미각에 이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후각의 저하로 인한 미각 기능 저하는
원인 질환이 해결되면 좋아질 수 있지만
만약 미각 신경의 손상이
원인이라면 회복이 어렵습니다.
진료과 추천
-> 이비인후과, 치과, 가정의학과, 신경과
'일상다반사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곱 생기는 원인과 증상 살펴보기 (0) | 2023.01.14 |
---|---|
혀 색으로 알아보는 건강상태 (1) | 2023.01.13 |
콧물 생기는 이유, 코막히는 이유 살펴보기 (0) | 2023.01.10 |
먹어도 배가고파요. 공복감 원인과 증상 살펴보기 (0) | 2023.01.09 |
입안이 헐었어요. 구내염 원인과 증상 살펴보기 (0) | 2023.01.08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