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음악이론 조성 따지기 (조성편)

오늘은 음악이론에서 조금은 따지기 어려운 '조성 따지기'에 대해서 살펴볼텐데요. 수많은 경험을 통해 얻은 조금은 쉬운 방법으로 설명해드리려고 합니다! 좀 더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신 분들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조성이란?

조성을 따지기 전에 '조성'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먼저 알아야할텐데요. '조성'이란 음악용어에서는 '으뜸음'에 의해 질서와 통일을 가지게 되는 여러 음의 체계적 현상을 말합니다. 조성에 의해 그 곡의 느낌과 곡의 스타일이 정해지는데요. 그만큼 곡에 있어서 조성은 굉장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조성은 굉장히 많은 종류가 있는데 그 수 많은 종류를 따지는 방법에 있어서는 '조표'를 알아야하고, '조표'를 따질 줄 알아야합니다. 여기서부터 굉장히 복잡해지죠. 

 

그 전에 가장 제일 중요한 건 '반음과 온음'을 알아야 합니다. (우선 제가 지난 시간 살펴본 조성에 대한 설명을 적은 글을 남겨드리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https://lee4wkd1.tistory.com/59?category=902275

 

음악용어 좀 더 쉽게 이해하기(조성)

조성은 무엇이며, 어떻게 따질까? 안녕하세요. 저와 함께 지난 글에서는 악보를 읽고, 연주함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음악이론 '오선'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그에 이어서 오늘은 '조성'에 관

lee4wkd1.tistory.com

 

 

 

1. 반음&온음이란?

반음과 온음은 건반을 보면서 이해해야 하기 때문에 함께 사진을 살펴보며 이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왼쪽 사진에서 보이시는 것과 같이

시->도한번 움직이죠

반면 에

도->레 는 검은건반을 거쳐 총 두번 움직입니다.

 

이렇게 한번 움직이는 것을 반음 

두번 움직이는 것을 온음 이라고 합니다.

 

 

 

 

 

문제 1.   '미파'는 반음 일까요? 온음 일까요? (정답은 제일 아래에 있습니다)

 

 

 

 

 

 

ㄹㅇ

 

 

 

 

그렇다면 '미'에서 온음 위의 건반은 무슨 건반일까요?

 

위에서 온음은 총 두번 움직여야 한다고 했으니

 

두번 위로 올라간 건반인

바로 파샾 (혹은 솔플랫) 인 느낌표가 적혀있는 검은건반임을

알 수 있습니다.

 

 

 

 

 

 

문제2.  '도'에서 반음 내리면 무슨 건반일까요? (정답은 제일 아래에 있습니다)

 

 

 

 

 

2.샾(#)

샾(#)은 반음을 올린다 는 뜻으로 오선 위에 붙는 순서는 '파도솔레라미시'입니다. 꼭 붙는 순서가 정해져있으니 기억해주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샾(#)'이 2개가 붙었으면 어디어디에 붙은 걸까요? 바로 '파도'에 붙은 거겠죠!

 

 

 

왼쪽 사진과 같이 오선위에 붙은 샾(#)의 모습을 기억해주세요.

 

붙는 순서는 '파도솔레라미시' 이며

 

오선에 그리는 위치도 정해져있습니다.

 

높은음자리보표에 그리는 것 부터 외우신다면 

낮은음자리보표에 그리는 것은 제가 사진으로 설명해드리는 것처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며 그리면 되기 때문에 쉬울 것입니다.

 

 

 

 

 

 

3. 플랫

 

플랫(b)은 반음을 내린다 는 뜻으로 오선 위에 붙는 순서는 '시미라레솔도미'샾(#)붙는 순서의 반대순서 입니다. 

 

예를 들면 '플랫(b)'이 3개가 붙었으면 어디어디에 붙은 것까요? 바로 '시미라'에 붙은 거겠죠!

 

 

왼쪽 사진과 같이 오선위에 붙은 플랫(b)의 모습을 기억해주세요.

 

붙는 순서는 '시미라레솔도파'이며

 

오선에 그리는 위치 또한 샾과 같이 정해져있습니다.

 

 

샾과 같이 높은음자리보표와 낮은음자리보표에 그리는 방향이 같습니다.

 

 

 

4.조성따지기

자, 이제 조표의 쓰임새와 조표붙는순서에 대해 살펴보았다면 조성따지기에 대해 살펴보기만 하면 됩니다.

 

 

 

4-1. 샾(#)이 붙었을 때

샾이 붙었을 때에는 기억해야할 것이 '마지막 붙은 샾에서 2도 올리기' 입니다. 

 

샾이 1개 붙었을 때에 마지막 붙은 샾은 당연히 '파'겠죠? '파'에서 2도를 올리면 바로 '솔'입니다. 고로 '솔'이 으뜸음이며 사장조 즉 GMajor가 그 곡의 조성이 되는셈이죠. 이해가 되셨나요? 

 

다시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샾이 3개 붙었을 때 -> 마지막 붙은 샾은 (파도솔 중 '솔') '솔'이겠죠? 그렇다면 2도올리면 바로 '라'입니다. 고로 '라'가 으뜸음이 되며 가장조 즉 AMajor가 그 곡의 조성이 되는겁니다.

 

*** (샾이 샾이 6개 붙었을 때에는 파, 도, 솔, 레, 라, 미 이렇게 붙으며 마지막 붙은 샾 '미'에서 2도 위를 올리면 '파'입니다. 하지만 '파'에는 이미 샾이 붙은 상태이기 때문에 바장조 즉 FMajor가 정답이 아닌 샾(반음을 올린다)의 성질을 포함시켜 올림바장조 즉 F#Major라고 해야합니다. ***

 

 

 

문제3. 샾 2개가 붙은 곡의 조성은? (정답은 제일 아래에 있습니다)

문제4. 샾 7개가 붙은 곡의 조성은? (정답은 제일 아래에 있습니다)

 

 

 

 

4-2.플랫(b)이 붙었을 때

 

플랫이 붙었을 때에는 기억해야할 것이 '마지막 붙은 플랫에서 4도 내리기' 입니다.

 

플랫이 1개 붙었을 때에 마지막 붙은 플랫은 당연히 '시'겠죠? '시'에서 4도를 내리면 '파'입니다. 고로 '파'가 으뜸음이 되며 바장조 즉 FMajor가 그 곡의 조성이 되는 셈입니다.

 

다시한번 살펴보겠습니다.

 

플랫이 4개가 붙었을 때 -> 마지막 붙은 플랫은 (시미라레 중 '레') '레'입니다. 그렇다면 '레'에서 4도아래음은 '라'이며 (라에도 이미 플랫이 붙었고 플랫은 반음을 내리는 성질이 있기에 포함시켜야 합니다.) 고로 정답은 내림가장조 즉 AbMajor가 그 곡의 조성이 됩니다.

 

 

 

 

문제5. 플랫3개가 붙은 곡의 조성은?

 

 

 

 

 

정답

문제1. 답 : 반음 (미파는 사이에 아무 건반도 없이 바로 한번에 갈 수 있는 건반이기 때문에 '반음'입니다)

 

문제2. 답 : '시' (반음은 한번 움직입니다! 그래서 '도'에서 한번 내려가면 '시'이기 때문에 정답은 '시'입니다)

 

문제3. 답: '라장조 즉 DMajor' (샾이 2개 붙을 때에는 파,도에 붙고 제일 마지막 붙은 샾은 '도'입니다 2도 위의 음은 '레'가 되기 때문에 정답은 라장조 즉 DMajor입니다.)

 

문제4. 답 : '올림다장조 즉 C#Major' (샾7개는 파도솔레라미시에 붙고 마지막 붙은 샾 '시'에서 2도올리면 '도'가 되고, '도'에는 이미 샾이 붙었기 때문에 '올림'이라는 샾의 성질을 포함해 말을 해줘야 합니다)

 

문제5. 답 : '내림마장조 즉 EbMajor' (플랫3개는 시미라 에 붙고 마지막 붙은 '라'에서 4도 내리면 '미'가 되며 '미'에는 이미 플랫이 붙었기 때문에 '내림'이라는 플랫의 성질을 포함해 말을 해줘야 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