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매일 배가 아파요. 만성복통 원인과 증상 살펴보기

 

지속적인 만성복통의
원인과 증상 살펴보기

 

 

 

일반적으로 만성 복통이라고 하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복통을

의미합니다.

 

만성 복통은 대개 

5세 이후 소아에게 많이 발생하며,

5~16세 소아의 약 10~15%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성인의 경우 약 2%에서 나타나며

주로 여성에게 증상이 잘 나타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만성복통의 원인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요?!

 

 

 


 

 

이유 없이 3개월 이상 배가 아파요

* 기능성 복통

 

 

 

3개월 이상 지속되는 만성복통은

그 원인이 뚜렷하게 밝혀지는 경우는

10%남짓이며,

90%는 특별한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기능성 복통이라 부르게 됩니다.

 

기능성 복통은 월경, 배변,

식사, 약물, 독소 등과 관련성 없이 발생하며

 

통증의 강도 또한 다양해서

미약한 통증이다가도 때로는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을 정도로

심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기능성 복통의 원인으로는

유전, 스트레스, 성격, 

사회적 상황, 우울증 또는 불안 등을

꼽을 수 있으며

 

어린아이가 겪는 만성 복통은

형제자매가 태어나거나

이사, 학교 생활을 시작하면서

받는 스트레스나 소아 학대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진료과 추천

-> 내과(소화기내과), 가정의학과,

소아청소년과

 

 


 

 

오랫동안 명치 부위, 윗배가 

쓰리고 아파요

* 위식도역류, 

만성위염

소화성궤양

 

 

 

위염과 같은 위장 질환의 경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감염되거나,

 

아스피린이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를

장기 복용 했을 때, 그리고

자극적인 음식 위주의 식생활을 할 때

만성화됩니다.

 

이때 위 표면의 점막 세포가 위축, 변형되며

위축성 위염으로 발전하며 이 때 위암의 발생률이

2~4배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만성적인 위장 질환은

조기에 제균 치료를 실시하고

생활습관 변화를 통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진료과 추천

-> 내과(소화기내과)

 

 

 


 

스트레스를 받으면 설사를 하고, 배가 아파요

* 과민성 대장 증후군

 

 

 

과민성 대장 증후군은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인해

복통, 복부 불쾌감, 설사나 변비

또는

이러한 증상이 섞여 나타나는

기능성 위장관 질환입니다.

 

가장 큰 원인으로 꼽는 것은

정신적 스트레스이지만

위장관 감염, 음주나 자극적인 음식을 먹는

식습관과도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특히 

소화기 증상으로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의 28.6%가 과민성 대장 증후군일 정도로

흔한 질환이며

 

남성보다 여성이 더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진료과 추천

-> 내과(소화기내과), 가정의학과,

소아청소년과

 

 

 


 

좌측 상복부에서부터 등 쪽으로

뻗치는 듯이 아프고, 술을 마시면 더 심해져요

* 췌장염

 

 

 

췌장은 우리가 먹은 음식을 소화시키는

아밀레이즈, 라이페이스, 트립신과 같은

소화효소를 분비하고,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 글루카곤 같은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능을 합니다.

 

 

급성, 만성 췌장염 모두의

주된 발병의 원인은 술이며

특히 만성 췌장염인 경우 80% 이상이

장기간 많은 양의 음주를 한 사람에게서

발생합니다.

 

 

술에 의해 췌장액 내의

단백질 양이 많아지고 성분이 끈적끈적하게 되어

단백 전을 형성하는데

이것이 췌장의 대사를 방해해

췌장 세포가 위축, 섬유화 되면서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췌장은 전체의 80% 정도가

파괴될 때까지 그 기능이 유지되므로

증상이 나타나는 만성 췌장염 환자는

이미 병이 많이 진행된 것입니다.

 

췌장염에 걸리면

만성복통과 함께 지방의 소화 효소인

라이페이스의 분비가 저하되므로

지방이 대변으로 그대로 나오는 지방변,

설사가 일어나고

내분비 기능 손상으로 인한

당뇨 증상이 나타납니다.

 

 

 

 

진료과 추천

-> 내과(소화기내과)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