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어깨 통증 원인과 증상 살펴보기

 

 

어깨 통증의
원인과 증상

 

 

어깨는 우리 몸에서

360도 회전이 되는 유일한 관절로

관절과 근육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통증의 원인도 다양합니다.

 

일상생활에서 우리의 어깨는

끊임없이 움직이기 때문에

무리한 움직임이나 외상, 사고 외에도

잘못된 자세나 운동부족,

직장인이나 학생처럼 오랜 시간

경직된 자세로 앉아 있을 때에도

어깨 통증이 생길 수 있으며

 

방치하다가 증상이 악화되거나

만성화되기도 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팔을 들어 올리거나, 돌리다 보면

특정 위치에서

심한 어깨 통증이 있어요

* 회전근개 건염, 회전근개 파열

 

팔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다 보면

90도 근처에서 통증이 생기고,

안팎으로 돌릴 때 특정 위치에서

심한 통증이 느껴진다면

 

어깨뼈와 팔뼈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회전근이라는

근육의 힘줄에 이상이 생겼을 수 있습니다.

 

어깨 힘줄에 무리한 힘이 가해 지거나,

외상을 입고,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때 염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방치할 경우 증상이 진행되어

파열될 수도 있습니다.

 

 

회전근개 질환의 특징은

통증이 느껴져도 움직일 수 있는

운동 범위 자체에 이상은

없다는 특징이 있으며

 

초음파나 MRI로 쉽게 진단할 수 있으나

오십견 등의 다른 질환과

동반되기도 합니다.

 

 

진료과 추천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팔이 일정 이상 들어 올려지지 않고,

올리려고 하면 심하게 아파요

 

* 오십견

 

 

오십견은 오십 대에 잘 걸린다고 해서

붙은 별칭으로 

유착성 관절낭염, 또는 동결견 이라고도 합니다.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주머니인 관절낭이

쪼그라들고 달라붙으며

관절이 굳어지는 것으로

팔을 올리거나 뒤로 돌리는 등의

움직임에 제한이 생기게 됩니다.

 

초기에는 등 뒤로 팔을

돌리기 힘든 정도지만

점차 등 긁기, 옷 벗기 등의

일상적 행동이 어려워지거나,

밤에 통증으로 잠을 자기 

어려워지기도 합니다.

 

오십견은 통증이 심한 1기,

통증은 줄지만 어깨가 많이 굳는 2기,

통증과 운동범위가 오히려

조금씩 회복되는 3기로 구분되며

 

염증과 통증을 줄이는

주사 치료와 지속적인 스트레칭 등

재활운동치료의 결과가 매우 좋기 때문에

비교적 치료가 쉬운 질환에 속합니다.

 

 

 

진료과 추천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팔을 움직이다가

갑자기 어깨에 심한 통증이 생기고,

전혀 움직일 수가 없어요

* 어깨 탈구

 

 

어깨 탈구는 허용된 범위 이상으로

팔이 꺾이거나, 무리한 운동을 했을 때

생길 수 있으며

 

심한 통증을 느끼며 팔을 전혀

움직일 수 없게 됩니다.

 

대부분 손으로 관절을 다시

끼워 넣는 도수 정복으로 치료하기 때문에

탈구가 발생하면 병원에 내원하여

의사에게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한 번 탈구된 어깨는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탈구가 되는 

습관성 탈구는 의학적인 도움을 받는 것이 좋으며

 

운동을 할 때 바닥에 어깨가 세게 부딪히거나

공을 앞으로 힘차게 던지는

동작처럼 어깨에 평소 이상의 힘이

전달되는 상황을 주의해야 합니다.

 

평소에 바르게 서고 앉는 습관,

어깨 주변의 근육 스트레칭을 통해

탈구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진료과 추천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