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정출혈 원인과 증상 살펴보기 

 

 

부정출혈의
원인과 증상

 

혹시 생리 때가 아닌데

팬티에 붉은 피가 비치거나,

갈색 냉이 묻어 나와

걱정한 적이 있으신가요?!

 

 

생리기간이 아닐 때 생기는

질 출혈을 '부정출혈'이라고 하는데요.

 

스트레스나 불규칙한생활,

체중 증가나 감소 등에 의해

생기는 일시적인 증상이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질환에 의해서도

출혈이 생길 수 있으므로

병원에 방문하여 정확한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검사 결과 특별한 산부인과 질환이

발견되지 않더라고 부정출혈은

우리 몸이 보내는 건강 이상의

적신호이므로 생활 습관 및

건강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이 필요합니다.

 

 

 


 

 

 

생리기간이 아닌데

질 출혈이 있어요

* 기능성 자궁출혈

, 호르몬 이상

 

 

 

특별한 원인 질환 없이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질 출혈을

'기능성 자궁출혈'이라고 부르며

 

주로 초경 이후 사춘기가 폐경이

입 막한 여성에게서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증상의 주요 요인으로는

과로, 무리한 다이어트,

과도한 운동, 극심한 스트레스 등으로

볼 수 있으며

약물 복용으로 인한 호르본 불균형도

주요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출혈량이 많지 않더라도

부정출혈 그 자체로

호르몬 불균형과 자궁 건강 저하를

의미하기 때문에

증상 조기에 병원에 방문하여

검사 및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진료과 추천

산부인과

 

 


 

부정출혈과 함께 하복부 통증,

생리기간이나 양의 변화 등

다른 증상들이 있어요

* 기질성 자궁출혈

(자궁, 난소의 질환)

 

 

자궁이나 난소의 다양한

질환으로 인해서도

부정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기질성 자궁출혈'이라고 합니다.

기질성 자궁 출혈을 유발하는 질환에는

 

 

자궁내막 증식증, 자궁 및 난소의 종양

골반염, 자궁 근종 등

무척 다양합니다.

 

특히 성교 후에 출혈이 나타났을 경우

자궁 경부 미란이나 폴립,

자궁 경부암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 박에도 자궁 외 임신, 잔류 태반,

태반 용종, 유산, 융모성 질환 등

임신과 관련한 부정출혈 증상이

있을 수 있고

항응고제, 자궁 내 피임 장치 등을

원인으로도 불규칙한 출혈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료과 추천

산부인과

 

 


 

 

폐경기 여성인데 

생리가 끊겼었다가 갑자기 출혈이 보여요

다시 생리를 시작하는 걸까요?!

* 폐경기 부정출혈

(2주 이상 생리가 지속될 경우

자궁내막 증식증이나 자궁내막암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여성은 정상적인 노화과정에 의해

난소가 퇴화하고, 점차

여성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해

더는 임신을 할 수 없는

폐경에 이르게 됩니다.

 

폐경기에는 생리 기간이 짧아지고,

월경량이 줄어들 것이라 생각하기 쉽지만

호르몬의 균형이 흐트러지는 시기이므로

부정출혈과 함께

생리기간 또한 길어지고, 월경량 또한

평소보다 많아질 수 있습니다.

 

한편 폐경기 이후 갑자기 생기는 부정출혈은

자궁, 난소 등 산부인과 질환의 증상이기도 합니다.

 

특히 출혈 기간이 2주일 이상 될 경우

자궁내막 증식증, 자궁내막 폴립,

자궁내막암, 자궁경부암 등을

의심할 수 있으므로 

산부인과에 방문하여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진료과 추천

산부인과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