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 소화가 안되는 사람이면 반드시 주의해야할 사항들
안녕하세요 몀마입니다.
요즘 식습관이 굉장히 좋지않은 사람들에게
자주 나타나는 증상을
소화장애/위염/역류성식도염
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많은 환자들이 진료실에서
"소화가 잘 안돼요"라고 얘기할 뿐
자세히 알아보면 소화가 안된다는 말은
사람마다 의미가 절대 다르다고 합니다.
식사를 한 후에 배가 편하지 않을 경우
소화가 안 된다고 말하는 경우가
제일 많고
심한 통증이 아닌 약간의 통즈잉 있는 경우
혹은 더부룩한경우 또한
소화가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증상에서 우리는
어떠한 방법들을 행해야하며
어떤 사항들을 주의해야할까요?!
증상이 느껴지면 원인을 제대로 알자
소화가 잘 되지 않는 증상이 나타날 경우
제대로 된 원인을 알기 위해 병원방문은 필수입니다.
실제로 영양분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는
소화 흡수장애(maldigestion and malabsorption)과
기능성 소화불량증(indigestion)을
구분하기 위해서인데요
그렇다면 소화 흡수장애와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정확히 어떤 것들을 말하는 것일까요?!
- 소화 흡수장애
소화 흡수장애의 원인에는
자가면역성 위염, 위장질환, 췌장 효소액의 분비 문제
이 것들을 주 원인으로 볼 수 있으며
간질환과 담즙 분비와 관련된 담도질환
그리고 대부분의 영양분을 흡수하는 역할의 소장에
문제가 생기는 소장질환을 원인으로 봅니다.
이 모든 원인들은 우리가 병원에서 이루어지는
검사를 통해 발견할 수 있으며
체중감소, 성장장애, 빈혈, 지방변 등
다양한 증상들을 나타내기 때문에
쉽게 발견할 수도 있습니다.
-기능성 소화불량증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소화 흡수장애와 달리
영양분을 흡수하는데 문제가 생긴 것이 아닌
속이 더부룩하고 쓰림이 느껴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음식물을 소화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자율신경의 영향을 받는데요
자율신경은 자신의 생각과 마음대로 제어할 수 없는
신경으로 감정과 정서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즉, 불안과 우울감 그리고 스트레스와 긴장과 같은
정신적인 자극은 자율신경계를 자극해
위의 운동을 방해합니다.
이로인해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또 다른 말로
'신경성 위염'이라고도 불립니다.
상복부 중앙에서 반복적인 통증이 느껴지며
복부에서 느껴지는 불쾌감이 주된 증상이며
속쓰림과 복부 팽만감과 구역질
울렁거림과 위산역류 등 다양한 증상이 함께 나타나기도 합니다.
주의해야할 사항들
6개월동안 갑자기 3kg이상의 체중이
감소된 분들이 계시다면
혹은
흑색변을 보는 분이 계시다면
또는
빈혈과 구토 그리고 배에 뭔가 만져지는
복부 종괴 등이 동반될 때에는
내시경 검사 및 추가 검사를 진행하셔야 합니다.
지켜야할 사항들
-규칙적인 식사는 굉장히 중요합니다.
-음식은 천천히 되도록 오래 씹어 먹습니다.
-잘못된 생활습관을 개선하는데에 힘을 씁니다.
-스트레스를 되도록 줄입니다.
-규칙적인 생활과 적당한 운동을 합니다.
-요가나 명상과 걷기와 같은 스트레스를 다스리는 방법을 찾습니다.
-과식이나 잠들기2~3시간 전 음식섭취를 피합니다.
-자극적인 음식섭취를 자제합니다.
-일반적인 식이요법을 따르기 보다 본인의 스타일에 맞는
식이요법을 찾아 꾸준히 지켜나가는 것을 추진합니다.
- 지방이 많은 음식과 술, 담배를 피합니다.
'일상다반사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의 원인, 당뇨증상, 당뇨에 좋은 음식과 습관 살펴보기 (0) | 2022.06.25 |
---|---|
역류성식도염 증상과 해결방안 살펴보기 (0) | 2022.06.24 |
영양성분 정보 살펴보기, 영양성분 꿀정보 총정리 (0) | 2022.06.20 |
물이 몸에 좋은이유, 물을 충분히 많이 마셔야 하는이유 (0) | 2022.06.18 |
생리전 증후군에 도움되는 음식과 습관 알아보기 (0) | 2022.06.02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