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입냄새 원인과 증상 살펴보기

 

입에서 냄새가 나요!
구취의 원인과 증상

살펴보기

 

 

입에서 냄새가 나는 증상인 구취는

스스로 깨닫는 경우는

10명 중 1명 정도로 매우 적으며

다른 사람들의 반응으로 인해

비로소 의식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특별히 심한 입 냄새는

주위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줄 뿐 아니라

그중 약 60% 정도는

의학적 대처가 필요한 병이

숨어 있는 경우이므로,

 

입냄새가 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면

원인을 알아내는 것이

분명히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구취의 원인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요?!

 

 


 

입이 마르고, 입냄새가 나요

* 침 분비량 감소,

구강 내 세균 증식

 

 

입 냄새의 원인 중 

70%는 오염된 혀나 치아에서

세균이 만들어내는 성분 때문입니다.

 

입 안에 있는 형기성 균이

만들어내는 휘발성 유황산화물이

그 원인 물질로,

보통 때는 정상적으로 분비되는 침이

이런 균을 억제하고, 원인 물질을

씻어내는 작용을 하지만

 

 

수면, 스트레스, 구강 호흡으로 인해

침이 적게 분비되거나 마르면

혐기성 균과 유황상 화물의 증가로

입냄새가 심해지기도 합니다.

 

 침 분비가 적어지는

아침시간과 공복일 때, 긴장했을 경우에는

평소 입 냄새가 없는 사람도

일시적으로 냄새가 날 수 있으며

 

침 분비가 감소하여 입이 마르는 구강 건조증과

구강건조증을 일으킬 수 있는

자가 면역 질환이 있을 경우에도

입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진료과 추천

-> 내과, 이비인후과,

가정의학과, 치과

 

 

 


 

마늘을 먹거나, 술을 마신 뒤

입냄새가 나요

 

* 음식, 기호품으로 인한 냄새

 

 

마늘을 먹은 뒤

입에서 냄새가 나는 것은

마늘의 일리신이라는 성분이

입 안과 위장에 남아있거나,

 

위에서 흡수된 알리신이 몸에서 분해되어

알릴 메캅탄이라는 물질이 되어

혈액을 타고 돌다가,

폐에서 날숨을 통해 빠져나올 때

냄새가 나게 됩니다.

 

마늘 외에도 양파, 파, 부추, 육류 섭취 시

구취가 날 수 있습니다.

 

 

술을 마셨을 경우에도

몸에 흡수된 알코올이 분해되어 생긴

아세트 알데히드라는 성분이

피부, 폐를 통해 밖으로 배출되면서

특이한 냄새가 나기도 하며

 

그 외 흡연자의 경우

담배 성분이 피부, 입안, 폐, 기관지 속에

남아있다가 숨을 쉴 때마다

냄새를 유발하기도 합니다.

 

 

 


 

 

당뇨 환자인데

특이한 입 냄새가 나요

* 당뇨병 (케톤산증)

 

 

 

당뇨병 환자에게서는

특징적인 아세톤 냄새나

연한 과일 향 같은 

입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의 경우,

인슐린에 인해 포도당이 대사와 활용이

정상적으로 일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몸이 당 대신 지방산을 분해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이때 생기는 아세톤이나

케톤체와 같은 대사산물들이

날숨으로 배출되면서

시큼하면서 단내가 섞인

입 냄새가 나게 됩니다.

 

당뇨 환자 외에도

오랜 시간 식사를 거르거나,

탄수화물이나 당질이 극도로

제한된 식사를 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지방 대사가 일어나면서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런 과도한 지방 대사가

지속되는 경우

식욕부진, 오심, 구토, 복통이

동반되는 대사성 산증(케톤산증)이 생기고,

심한 경우 혼수상태에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

 

 

 

진료과 추천

-> 내과, 가정의학과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