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산후 우울증, 출산 후 엄습하는 산후 우울증의 원인과 증상 살펴보기

 

 

출산 후 다가오는 공포
'산후 우울증' 원인과 증상

 

 

안녕하세요 몀마입니다.

오늘 여러분들과 함께 살펴볼 건강정보의 주제는

'산후 우울증'입니다.

 

 

산후 우울증이란,

출산 후 4주에서 6주 사이 

즉 산욕기 동안 우울한 기분과 함께

심한 불안감, 불면, 과도한 체중변화, 의욕저하,

집중력저하, 자기자신에 대한 가치없음

또는 죄책감을 경험하며 심하면

자살이나 죽음에 대한 생각 등으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기능저하를 초래하는 질환입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산후 우울증의

증상에는 어떠한 점들이 있는지

먼저 살펴보고 원인과 진단 그리고

치료법에 대해서도 나눠보겠습니다.

 

 

 

산후 우울증 증상

앞에서도 잠깐 살펴봤지만 산후 우울증을 겪는 분들의 증상을 대표적인 것들로 추려서 살펴보겠습니다.

우울감과 함께 엄마로서의 자신감이 없어지며 불면증, 식욕감퇴, 불안장애, 소화불량, 집중력 저하,

인지기능 저하, 흥미감소, 짜증 증가 등의 증세가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2주이상 나타나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아기를 출산한 여성이라면 누구나 산후 우울증을 경험하할 수 있으며, 특히 초산일 때 더 쉽게 노출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산후 우울증 원인 

산후 우울증의 원인으로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지만 출산후 우울증을 경험한 적이 있는 사람이 또 다시 출산할 경우 우울증에 걸릴 위험률이 50~80%로 높아진다고 합니다.

임신 기간 중에 불안이나 우울을 경험하며 갑자기 모유 수유를 중단한 경우 주변 사람이나 사회로부터 격리됩니다.

또한 정서적과 육체적으로 지지해 줄 수 있는 사람들이 주변에 없는 경우와 평소 월경 전 증후군을 앓았거나

과거 우울증의 병력이 있는 사람일 경우 산후 우울증에 걸리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또한, 갑상선 기능에 이상이 있거나 양육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경우 산후 우울증의 위험이 커진다고 합니다.

 

 

 

산후 우울증 진단

정신과 상담을 통해 증상에 대한 병력을 듣고, 신체검사 시행 후 진단이 내려집니다.

산후 우울증의 진단 기준은 일반적인 우울증의 진단 기준과 동일합니다.

-> 출산 후에 우울 증상이 시작되었음을 알아내는 것이 진단에 중요합니다.

 

* 산후 우울증 치료

증상이 심한 경우 전문가와 상담하여 항우울제 등의 약물 치료, 심리 상담 또는 정신치료를 병행하여야 합니다.

타인이나 본인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동을 할 가능성이 있거나, 일상생활을 전혀 할 수 없을 경우에는 입원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이에 가족들의 지지 역시 중요하므로 산후 우울증 치료에 있어서 가족들에 대한 교육도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산후 우울증 예방법

출산과 양육에 대해 현실적인 기대하기

출산 후 고른 영양 섭취로 건강 회복에 힘쓰기

자신만의 즐거움 찾기

자신의 감정을 숨기지 말고 자주 대화 나누기

남편과의 공동육아와 휴신 시간 갖기

 

-> 아이에게도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는 산후 우울증!

나와 가족의 행복을 위해 적극적인 치료가 중요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