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색으로 알아보는 질환
끈적끈적한
가래의 원인과 증상
기관지에 촉촉하게 덮여 있는
점액질은 95%의 수분과 5%의 단백질,
지질 및 무기질 및 면역 물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래서 호흡을 통해 들어오는
물리적인 자극뿐 아니라
각종 병적 요인을 방어하는 방패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질환으로 인해
점액의 분비량이 늘어나면,
기침과 동시에 가래의 배출 횟수와
배출량 또한 증가하게 됩니다.
가래는 건강상태, 생활습관과 환경,
질환의 종류에 의해
그 양과 질, 형태, 색 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가래의 원인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요?!
끈적끈적하고 누런 가래가 나와요
* 호흡기 감염
(감기, 기관지염, 폐렴 등)
누런 색깔이나, 황록색의 가래는
우리가 감기라고 말하는
호흡기 감염 질환과의 관련성이 높습니다.
가래의 색이 누런색, 황록색을
띄는 것은 호흡기의 염증세포와
분비물, 세균, 바이러스 등이
섞여서 나오기 때문인데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초록색과 푸른색으로 더욱 진해지거나
끈적이는 정도가 점점 심해진다면
폐렴, 만성 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즉시 병원으로 내원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진료과 추천
-> 내과(호흡기내과), 이비인후과,
소아청소년과
희고 끈적끈적한 가래가 나와요
* 호흡기 감염 (바이러스성),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하얗고 맑은 색의 가래는 대부분
정상 점액질의 배출로 볼 수 있지만
세균 감염이 병행되지 않은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증상으로
희고 끈적한 가래가 배출되기도 합니다.
한편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의 증사응로
가래가 나타날 수 있는데
면역반응으로 인한 염증으로 기도가 좁아지고,
점액질이 많이 분비되면서
흰 가래, 기침 등의 증상이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료과 추천
-> 내과(호흡기내과), 이비인후과,
소아청소년과
가래에 피가 섞여서 나와요
* 기관지염, 기관지나 폐의 심각한 질환
가래의 색깔에 따라 증상을 구분해 보면
붉은색의 가래는
호흡기의 자극, 상처로 인해서
출혈이 있었다는 뜻입니다.
한편 갈색이나, 적갈색의 가래는
감염의 흔적으로서 폐에 오랫동안
머물렀던 혈액 응고 물질일 수 있습니다.
증상의 특징에 따라 원인 질환을 나눠보면
심한 기침 후에 적은 양의 가래에
실 모양의 피가 묻어 나오면
기관지염인 경우가 많습니다.
한편 지속적으로 많은 양의
붉은 가래가 나온다면
기관지확장증, 폐농양, 결핵, 폐암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특히 폐암은 반드시 병원에 내원하여
철저한 진단을 밟아야 하는 질환입니다.
그전에는 붉은색 혈성 가래의 원인으로
폐결핵의 가능성이 제일 많았으나
근래 결핵 환자가 줄어들면서
폐암의 가능성이 더 많아졌기 때문입니다.
진료과 추천
-> 내과(호흡기내과), 이비인후과,
소아청소년과
그 밖의 원인으로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기관지 확작증
폐농양
폐부종
결핵
폐암 등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일상다반사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격한 체중감소 원인, 질병으로 인해서?! (0) | 2023.02.27 |
---|---|
숨이차고 호흡이 가빠져요. 호흡곤란이 오면 의심해야하는 질환 (0) | 2023.02.25 |
기침이 계속나와요, 지속되는 기침의 원인질환 (0) | 2023.02.23 |
객혈, 기침을 했는데 피가 나왔어요 (0) | 2023.02.22 |
구토원인, 속이 울렁거릴때 원인과 증상 살펴보기 (1) | 2023.02.21 |
최근댓글